728x90 잡학상식/경제,사회정보73 52주 적금과 풍차돌리기 요즘 은행금리는 낮고 마땅히 재테크를 할 곳은 없고 그렇다고 돈을 가만히 놔두면 계속 쓰게될 돈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손쉽게 따라해 볼 수 있는 돈모으는 방법을 알려드려고 합니다. 물론 한 번에 일확천금을 얻게 해준다거나 돈버는 일자리를 알려준다거나 하는 허황된 것은 아니니 혹시나 그런 것을 생각하고 오셨다면 지금 빨리 근처 편의점으로 달려가 로또를 구매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 알려드릴 것은 52주 적금과 풍차돌리기 라는 적금방법에 대해서 입니다. 풍차돌리기는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한달에 하나씩 적금통장을 개설하여 지속적으로 저축금액을 늘려가는 것을 말하는 데요. 52주 적금 도 이와 같습니다. 52주는 1년 입니다. 즉 매월 적금을 넣는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자유적금으로 .. 2017. 11. 20. 2018년 최저임금 계산 법 총정리 및 실수령액 알아보기 2017년도 저물어 가면서 정부도 서서히 2018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문제인 정부가 출범하며 일자리 안정과 함께 최저시급 만원 공약을 이행하고 있는데요. 그 첫단추로 2018년 최저임금 을 빼 놓을 수가 없습니다. 2018년 최저임금이 올해 대비 16.4%가 오르면서 최저임금 이 7,530원이 되었습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157만 3770원(월 209시간 기준)으로 22만 1540원이 인상 되었습니다. 아무튼 그로 인해서 2018년에 적용된 최저임금 으로 인해서 여러분이 받게 될 2018년 최저임금 계산 법이 궁금하실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시간당 7,530원의 최저임금이 적용되면 근로자의 실수령액을 얼마이고, 사업주가 근로자 채용시에 부담해야 될 금액은 어느정도인지까지 궁금하실 부분들이 많으실 .. 2017. 11. 11. 연봉별 1억 모으기에 걸리는 현실적인 시간 많은 직장인들의 꿈은 아마 1억 모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1억이라는 돈이 가지는 의미는 상당히 큰데요. 실제적으로 1억이라는 돈이 모든 종잣돈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금액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1억이라는 종잣돈이 있어야 금융자산에 투자를 통해서 자산을 불리는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모든 제테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종잣돈 1억을 만들기 위해서 저축을 한다면 기간을 얼마나 걸리고 저축을 해야 하는 최소단위는 어떻게 될까요? 이것은 각 개인별 연간 소득에 따라 얘기가 달라질 것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미친듯이 1억 모으기에만 전력을 다한다고 가정하면 월급에서 최소생활비만 제외하고 남는 금액 전부를 저축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렇게 최소한의 생활비만 남겨놓고 저축을 한다는 가정으로.. 2017. 10. 30. 연봉 1억 직장인의 월 실수령액 과 연봉별 실수령액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라면 한번쯤 꿈꾸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대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에 취직하는 것과 꿈의 연봉인 연봉 1억을 받아 보는 것입니다. 1년에 1억 이상을 받는 상위 5% 미만의 엘리트 직장인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직장인은 연봉 1억을 받으려면 20년 이상 근속근무를 한 후 퇴직할 때쯤에 이르러서야 겨우 연봉 1억 원에 도달 할 수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실제로 국세청에서 발표한 '2016년 근로소득'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연봉은 3387만원으로나타났으며 근로자 가운데 연봉 1억원 이상을 받는 사람은 상위 5%정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한 가지 알고가야 할것이 있습니다.바로 연봉이 6000만원이라고 해서 우리가 실제로 수령하는 월급이 500만원이나 되는 건 아.. 2017. 10. 3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