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상식/정신건강

허무주의란 무엇일까? 허무주의 사상, 정의, 유형 및 대표 철학자 알아보기

by 감성총각 2024. 10. 14.
728x90

허무주의 사상은 20세기 가장 중요한 철학적 흐름으로 현대 사회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절대적 가치와 권위를 부정하는 허무주의를 정의하려면 그 의미, 역사, 다양한 유형을 탐구해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허무주의 사상의 정의, 유형 및 대표 철학자 등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허무주의 사상이란?

‘Encyclopedia of Philosophy'에서는 허무주의의 어원이 라틴어로 아무것도 없다는 ‘nihil’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러므로 허무주의는 절대적인 진리나 도덕, 가치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처지, 그러한 입장에 따른 생활 태도 등을 총칭하며 사회의 기반이 되는 가치에는 기초와 의미가 부족하다는 믿음을 뒷받침합니다.

 

또한 극단적인 비관주의와 존재를 비난하는 급진적인 회의주의를 표방하는데요. 즉, 삶을 포함하여 아무것도 의미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진정한 허무주의적 태도는 그 무엇도, 누구도 믿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충성이나 광신을 공언하지 않고 자기 믿음의 산물인 파괴적인 충동에 이끌립니다. 아무것도 의미가 없다면 모두 파괴되어야 하며 행동이나 신념 역시 무의미하다고 여깁니다. 즉, 세상은 전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는 것이죠.

 

20세기말, 허무주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실존적 두려움을 느끼게 되었다고 합니다. 삶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조장하는 철학적 흐름을 비난하면서 사람들은 괴로움에 빠졌고 그 결과 불편함까지 유발했습니다.

반응형

소설가가 창시한 허무주의

무르시아 대학의 ‘Cartaphilus’지에 따르면 러시아 소설가인 이반 투르게네프가 ‘아버지와 아들(1862)’라는 작품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작품에서 ‘바자로프’라는 인물은 허무주의적 태도와 사상을 보여주는데요.

 

‘아버지와 아들’은 두 세대의 갈등과 대립을 이야기하는 소설입니다. 책에선 전통적인 이상을 지키려는 부모들과 대립하는 오래된 이상에 환멸을 느끼는 자녀들은 회의적이고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젊은 세대는 반역자로 간주됩니다. 어떤 권위도 존중하거나 따르지 않고 낡은 신념과 이상을 과학과 유용성에 기초한 새로운 원칙으로 대체하려고 애씁니다.

 

허무주의 유형

부정하는 현실 측면에 따라 허무주의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서 허무주의의 유형별 특징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회의적 허무주의

회의주의는 허무주의적인 철학적 흐름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회의론자는 인간이 이 세계에 확실한 진리나 지식을 찾는다는 가능성에 부정적인데요. 회의적 허무주의자는 전통적 신념이 인간을 제한하고 부패시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난합니다.

인식론적 허무주의

인식론 허무주의는 지식과 진리를 구성할 가능성을 부정하는 극단적 회의주의를 말합니다. 또 다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니 아무것도 사실이 아니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정치적 허무주의

정치적 허무주의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모든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존재가 파괴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즉, 모든 사회 제도는 의미와 기반이 부족하므로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윤리적 허무주의

윤리적 허무주의는 인간이 도덕성이나 절대 가치를 소유할 가능성을 거부합니다. 현실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고, 집착할 다른 세계도 없다. 따라서 가치는 사회 및 정서적 압력으로 만들어진다고 믿는 것이죠.

728x90

실존적 허무주의

실존적 허무주의에서는 삶이 아무런 가치나 의미도 없습니다. 삶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거나 큰 소리로 표현하는 것은 실존적 허무주의적 태도입니다. 삶이 의미가 없다면 이 세상 역시 무의미하다고 믿습니다.

 

러시아 허무주의

앞서 언급했듯이 이 용어는 19세기 러시아 차르 시대의 러시아 문학에 처음 등장했으며 국가 간의 종교, 형이상학, 사회적 이상에 대한 일종의 반작용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러시아 허무주의는 현 정부에 대한 거부로 인한 근본적인 위기의 표현이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에 대한 거부
  • 사회 변화
  • 과학과 철학에 대한 믿음
  • 공리 원칙에 따른 행동
  • 19세기 반봉건 사회 파괴에 찬성

 

또한 러시아 허무주의의 철학적 개념 안에는 과학적 비전이 있는데요. 과학이 참된 지식이며 과학의 기능은 세상과 사회를 설명하고 예측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과학적 지식과 철학의 결합에 기초를 둔 이상을 꿈꿉니다.

허무주의 철학자

뛰어난 현대 철학자들의 허무주의적 사고는 허무주의 개념에 대한 답을 설명합니다. 아래에서 허무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 세 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프리드리히 니체

1844년에 태어난 독일 철학자인 니체는 허무주의가 당시 사회를 지탱하던 모든 도덕성, 종교, 형이상학적 신념을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 결과는 역사상 가장 큰 인류 위기의 가속화, 즉 전통 도덕 붕괴의 산물이었습니다. ‘Gil(2011)’에서는 니체가 투르게네프의 소설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허무주의 개념을 공식화하고 철학적으로 표현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니체의 허무주의 이론은 세 시기를 거치 지는데요. 첫 시기는 기독교 도덕의 출현과 관련이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사랑, 물질에 대한 무관심과 약자 보호의 가치를 지킵니다. 또한 현재 삶보다 더 가치 있는 삶을 옹호합니다.

 

두 번째 시기는 ‘신의 죽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독교 도덕의 가치는 의미와 중요성을 상실하고 삶과 세상의 이유에 대한 목표와 답이 부족해집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기는 재평가라고 합니다. 잃어버린 의미를 재확립하는 새로운 사람이 등장하는데요. 이는 사회 및 도덕적 변혁을 수행할 기회를 나타내는 건설적인 시기입니다.

 

장 폴 사르트르

바르셀로나 대학 철학지에 따르면, 사르트르는 신이 죽은 후에도 인간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개인은 제한 없이 자신을 창조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주장이 허무주의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바로 인간의 무한한 자유는 긍정적이면서 부정적이라는 것입니다.

 

개인은 완수할 특정한 의무 없이 무한한 세계에 태어났습니다. 따라서 사르트르적 허무주의는 의미와 자유의 상실에서 발견됩니다. 인간의 자율성은 끊임없이 자신을 발명하고 재창조할 기회이며 결정권은 오로지 인간에게만 있다는 것이 사르트르적 허무주의입니다.

하이데거

이 독일 철학자는 허무주의적 비전에서 존재에 대한 자신의 존재론이나 질문을 가정했습니다. ‘Pensamiento’ 저널은 하이데거에게 무(無)란 존재의 의미를 포착할 수 있게 해 준다고 믿는다고 저술했습니다.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존재한다는 것은 무(無) 속에서도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존재의 의미는 무(無)에서 발현되어 인간의 필멸 상태를 드러냅니다. 이는 하이데거가 급진적인 마음 상태로 이해한 괴로움을 불러일으킵니다. 하이데거적 허무주의는 인간이 이러한 느낌을 경험할 때 무(無)와 죽음을 마주한다고 믿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허무주의는 사회를 지배하는 존재와 가치에 대해 논쟁을 벌이는 철학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논쟁을 수행하면 더 나은 대안을 생각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것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생각이 깊어지면 아마도 어느 시점에서 이러한 사고방식이 허무주의에 속한다는 것을 모른 채 모든 것을 무로 축소하고 허무주의적인 방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