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음식보관을 어떻게 하시나요? 보통은 냉장보관을 하시지만 오래 두고 먹어야 하거나 신선하게 보관해야 할 때 등에는 냉동고에 보관을 합니다. 이렇게 냉동 보관은 음식을 오래 신선하게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모든 음식이 냉동에 적합하지는 않습니다.
냉동보관해서는 안 되는 음식을 잘못된 방법으로 냉동 보관하게 되면 식중독, 소화 장애, 심지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냉동실에 보관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음식 5가지와 그 이유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계란 – 냉동 후 껍질 파열로 식중독 위험
계란을 냉동보관 하면 왜 위험할까요? 계란은 냉동실에서 껍질이 터지기 쉽습니다. 껍질이 터지면 계란 속으로 세균인 살모넬라균이 침투할 수 있어 식중독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해동 후 텍스처가 물러지고 품질이 떨어져 영양도 감소합니다.
대안
계란은 냉동하지 말고, 냉장 보관하세요.
냉동이 필요할 경우, 날계란을 풀어서 얼음틀에 넣어 얼리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2 유제품 – 크림, 우유, 요구르트 같은 제품
유제품을 냉동하면 왜 위험할까요? 유제품은 냉동하면 지방과 수분이 분리되며, 맛과 질감이 변질됩니다. 특히 해동 후에는 박테리아 번식 가능성이 높아져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안
유제품은 소분해서 냉장 보관하며, 빠르게 소비하세요.
크림이나 우유를 얼려야 한다면 요리용으로 사용할 소량만 냉동하세요.
3 녹차와 허브차 – 발암 물질 생성 위험
녹차와 허브차를 냉동하면 왜 위험할까요? 녹차나 허브차는 냉동 보관 시 차 잎 속 물질이 분해되면서 일부 성분이 산화될 수 있습니다. 녹차 성분이 분해되면 발암 가능 물질인 아플라톡신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대안
차는 냉동 대신, 밀폐 용기에 담아 서늘한 곳에 보관하세요.
냉장 보관을 해야 할 경우, 밀폐가 잘된 상태로 보관하세요.
4 감자 – 녹말이 당으로 변질
감자를 냉동보관하면 왜 위험할까요? 감자를 냉동하면 녹말이 당분으로 변질되어 해동 후에는 맛이 달아지며, 조리 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자는 냉동 후 식감도 변해 쓴맛이 나기도 합니다.
대안
감자는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세요.
감자를 얼려야 한다면, 익힌 후 냉동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 튀긴 음식 – 산패한 기름의 건강 위험
튀긴 음식을 냉동보관 하면 왜 위험할까요? 튀긴 음식을 냉동하면 기름이 산화되어 산패가 진행됩니다. 산패된 기름은 염증 유발과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동 후 재가열하면 트랜스지방 생성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안
튀긴 음식을 장기간 보관하지 말고, 즉석에서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냉동이 필요하다면, 밀폐 용기에 넣어 최대 1주일 이내 소비하세요.
냉동 보관 시 주의할 점 4가지
1 냉동 전 신선도 확인
냉동하기 전에 음식이 신선한 상태인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2 밀폐 보관 필수
음식은 밀폐 용기나 지퍼백에 담아 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3 해동 후 재냉동 금지
해동한 음식은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아 다시 냉동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음식별 적정 냉동 기간 준수
각 음식에 맞는 적정 냉동 기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냉동보관 하면 오히려 안 좋은 음식들을 알려드렸는데요. 오늘 소개한 계란, 유제품, 녹차, 감자, 튀긴 음식은 냉동 보관 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음식들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음식들이 냉동 보관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방법과 대안을 활용해 현명하고 안전하게 관리하세요. 건강은 보관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지금 냉동실을 확인해 보세요.
'잡학상식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 회식 후 이 음식으로 숙취를 날려보세요 (55) | 2025.01.31 |
---|---|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 꿀팁 8가지 (35) | 2025.01.26 |
식은 음식, 바로 만든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음식 데우는 꿀팁2가지 (68) | 2025.01.20 |
세탁소 사장님이 직접 알려주는 패딩 세탁법 (49) | 2025.01.19 |
모르면 못 받는 혜택!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 알아보기 (67)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