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

올해 설 떡국은 이거다! 떡국에 어울리는 의외의 재료들

by 감성총각 2025. 1. 29.
728x90

민족의 명절 설이 되었습니다. 설에는 새해를 맞고 한 살 더 먹으라는 의미로 떡국을 먹는데요.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떡국을 먹었다고 합니다. 음력 1월 1일에 떡을 넣고 끓인 하얀 탕을 먹으며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오길 기대한 것인데요. 올해는 이왕 나이 먹는 거 서럽지 않게 떡국에 내 맘에 드는 재료를 추가해 더 맛있는 떡국을 끓여 먹어 보도록 합시다!

 

매생이

경상도 지역에서는 겨울이 제철인 해산물을 넣어 떡국을 만들어 먹는다고 합니다. 끓이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주재료인 매생이를 먼저 소금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합니다. 그다음 참기름에 굴을 볶은 다음 매생이를 볶습니다. 떡국에 볶은 매생이와 굴을 넣고 간을 하면 끝인데요.

 

취향에 따라 굴 외에도 새우, 멸치, 다시마, 미역 등을 더해도 됩니다. 매생이는 숙취 해소에 특히 좋다고 하는데요. 설 연휴를 맞아 가족과 술 한잔했다면 다음 날 아침 메뉴로 매생이 떡국만 한 게 없을 것 같네요.

728x90

연근

연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뼈 건강과 혈당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식재료입니다. 다만 독특한 뿌리채소의 맛 때문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데요. 이런 연근을 떡국에 넣어 먹으면 의외로 잘 어울립니다.

 

아삭하게 먹으려면 연근을 떡보다 늦게 넣어 짧게 데치고 부드럽게 먹으려면 떡보다 먼저 넣어 오래 끓이면 되는데요. 들깻가루, 콩가루 등을 넣어 고소하게 끓인 떡국과 가장 잘 어울린다고 합니다.

 

애호박

애호박은 평소 한식에서 색감을 살리기 위해 부재료로 활용되는 식재료인데요. 이러한 애호박 또한  떡국의 메인 재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애호박 떡국을 끓이는 방법은 간단한데 멸치 육수로 끓인 떡국에 애호박 한 개를 모두 썰어 넣으면 끝입니다. 껍질 부분의 씹는 맛과 속의 부드러움이 떡국과 잘 어우러진다고 합니다. 여기에 당근, 양파, 대파 등을 더하면 순하고 개운한 맛의 채소 떡국이 됩니다.

 

전복

전복은 비타민, 글리신, 타우린, 아르기닌 등 아미노산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식재료인데요. 이러한 전복을 떡국에 넣어 먹는다면 피로 해소와 활력에 도움을 주어 힘찬 새해를 시작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또한 전복 내장은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피부 미용에도 도움을 주는데요. 전복떡국을 끓이는 방법은 중 약불에 들기름과 전복, 마늘을 넣고 볶다가 물을 넣어 끓여주고 그 위에 떡국떡을 넣어 마저 끓이면 완성입니다.

 

명란

명란떡국은 방송 <전지적 참견 시점>에서 먹교수 이영자가 공개한 레시피인데요. 명란 떡국을 끓이는 방법은 먼저 불린 떡에 액젓 한 스푼을 넣어 밑간을 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어서 멸치로 끓인 육수에 떡과 명란을 넣고 마지막에 달걀물을 붓고 깨를 갈아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짭짤한 명란 덕에 따로 간을 하지 않아도 이미 맛있죠. 이영자 님의 먹조언을 따르면 고명으로 명란을 얹어내면 좋다고 합니다. 기호에 따라 홍고추, 대파, 만두, 황태 등을 더하면 좋습니다.

 

김치

우리가 누구인가. 바로 김치의 민족 아니겠습니까? 우리 한국인은 바나나를 갈아 김치 속을 만들고 망고를 썰어 김치를 담글 정도로 김치를 좋아합니다. 그런데 김치를 넣은 떡국이 왜 안 되겠습니까? 특히 남도 지역에서는 이전부터 김치 떡국을 먹어왔다고 합니다.

 

만드는 방법도 어렵지 않은데요. 떡을 불려놓고 멸치 다시마 육수를 만든 다음에 김치를 넣어 끓입니다. 이어서 고춧가루, 참치액, 다진 마늘을 넣어 줍니다. 마지막으로 떡을 넣고 마저 끓인 다음 대파를 송송 썰어 올리면 되는데요. 취향에 따라 어묵과 만두 등을 더해도 좋습니다.

 

야콘

야콘은 ‘땅속의 배’라고 불리는 채소인데요. 야콘은 고구마랑 닮았는데 전분이 없고 섬유질이 풍부해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는 채소입니다. 이 낯선 재료 역시 떡국에 넣어 먹을 수 있는데요. 깨끗이 씻은 야콘을 채 썬 다음 식초 물에 데쳐줍니다.

 

그런 다음 떡국을 끓여 그릇에 담아주고 파, 깨, 김과 함께 채 썬 야콘을 고명으로 올려먹는 것인데요. 해당 야콘떡국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트되는 야콘 떡국 레시피입니다.

반응형

조롱이떡

떡국 떡의 유래를 살펴보면 우리 민족은 부가 깃들길 바라며 가래떡을 엽전 모양으로 길게 썰어먹은 데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부유함도 좋지만, 귀여운 게 더 좋다면 아예 눈사람 모양 조롱이떡을 활용해 떡국을 끓여보는 것도 좋습니다.

 

가운데 부분이 움푹 들어간 조롱박 모양의 조롱이떡은 이전에 먹던 음식과는 또 다른 새로운 식감을 선사해 주는데요. 어린 조카가 있는 집이라면 식용색소를 넣어 알록달록한 조롱이떡을 활용해도 좋겠습니다.

반응형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하고 맛있는 돼지고기 스테이크  (0) 2017.03.08
[일상, 음식] 아빠표 갈비 김치찌개  (0) 2017.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