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 65,000원으로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

by 감성총각 2024. 1. 26.
728x90
기후교통카드


올해 꼭 목돈 마련에 성공하고 싶은 이들이라면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매달 나가는 고정비용인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올해 나온다고 합니다. 카드 한 장으로 서울시 지하철, 버스는 물론 공공 자전거(따릉이)까지 마음껏 탈 수 있습니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실감 나는 요즘, 한 푼이라도 절약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소개하겠습니다.

 

기후동맹카드 자가진단테스트

 

월 6만 5천 원으로 서울시 지하철-버스, 따릉이가 무제한

 
한 번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드는 기본요금을 1500원으로 잡아 계산하면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 출-퇴근만 해도 한 달에 6만 원 가까운 돈이 나갑니다. 서울 시내의 대중교통을 월 41회 이상 탑승하는 분들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7입부터 6월 말까지 시범 운영하고 7월부터 정식 도입하기로 한 카드인데요.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용(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카드는 6만 2000원권(지하철+버스)과 6만 5000원권(지하철+버스+따릉이) 두 종으로 출시됩니다. 
 

이용가능범위

 
기후동행카드 이용범위로는 서울 지역 내 지하철 1~9 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수인분단선, 경춘선,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 서울~김포공항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내버스, 마을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신분당선은 요금체계가 상이해 서울구간 내라도 이용이 제한되고 광역버스, 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 버스는 이용할 수 없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도 연계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환승 구간이 많거나 중간에 버스로 갈아타는 경우엔 비용이 더 늘어나는 만큼 주중은 물론 주말에도 대중교동을 이용하는 이들이라면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쏠쏠하네요.
 

모바일티머니

 

모바일 or실물카드로 편리하게

 
'기후동행카드'는 1월 23일부터 모바일카드를 내려받거나 실물카드를 구매해 이용할 수 있는데. 모바일카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 스마트폰에서 '모바일티머니' 을 무료로 다운로드해 월 이용요금을 계좌이체하고 5일 이내 사용일을 지정한 후 이용하면 됩니다. 다만 아직 iOS 기반 스마트폰(아이폰)은 모바일 교통카드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실물카드를 이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모바일 발급을 원하시는 분들은 밑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모바일 티머니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기후동행카드 모바일 발급따라하기


서울시는 시범 기간 내 신용카드로 모바일카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7월 본 사업에는 대다수 시민이 이용하는 후불 교통카드에 기후동행카드를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 현금 3000원에 판매하며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에서 현금충전으로 하고 5일 이내에 사용일을 지정한 후 이용하면 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환불도 자유로운데요. 환불은 사용기간 만료 전(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잔액에 대해 가능하고 카드 충전금에서 실 사용액과 수수료 500원이 차감된 금액이 환불됩니다.
 
서울시는 이후 지하철과 버스 외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해 다양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도록 요금제개발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인천시, 김포시가 기후동행카드 동참 의사를 밝히면서 향후 이용구간은 서울 외곽까지 확대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CHECK POINT
월 6만 원대로 서울시 대중교동 프리패스!
서울시내 출퇴근러 라면 월 41회째 대중교통 이용부터 이득.
향후 김포, 인친에서도 이용할 수 있을 전망

 

월65,000원에 무제한

 
활기찬 하루를 다짐하는 출근길 그리고 두근거리는 퇴근길, 설레는 마음으로 연인이나 친구와의 약속을 위해 이용하는 대중교통에는 우리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습니다. 시민의 발로 불리는 대중교통, 기후동행카드로 보다 많은 이들이 일상 속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