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급여2 퇴직금 및 각종 수당의 기초가 되는 통상임금의 정의 및 계산법 근로자가 휴일에 근로하거나 연장근무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시간에 대해 임금을 가산하여 지급해야 하는데요. 이때 가산되는 임금의 기준이 바로 통상임금입니다. 이와 같이 통상임금은 휴일 근로수당, 실업급여 등 각종 법정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데요. 법정 수당의 기준액을 어떤 것으로 정하는지에 따라 임금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노사 모두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이 통상임금에 대한 새로운 결정을 내렸습니다. 바뀐 조건 중 하나가 재직 조건이나 근무 일수 조건을 채우면 지급되는 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통상임금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통상임금의 계산법과 바뀐 통상임금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통상임금이란통상임금이란 근로.. 2025. 1. 5. 최저임금은 올랐는데 월급은 그대로? 판치는 최저임금 편법과 꼼수 2018년이 되면서 최저임금이 6470원에서 1060원 오른 7530원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올해부터 인상될 월급을 기대하던 회사원들과 아르바이트생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런데 이런 많은 노동자들의 바람을 교묘히 피해가는 편법과 꼼수들이 성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2018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 때에 높아진 임금 때문에 혹여나 일자리를 잃거나 월급이 오르지 않는 사태가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우려의 말을 했던 것이 현실로 나타나고야 말았습니다. 특히나 임금이 적거나 나이가 많은 근로자들은 그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높아진 임금을 피하기 위해 판치는 최저임금 편법과 최저임금 꼼수 들 어떤 꼼수와 편법을 부리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여금 .. 2018. 1.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