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구나 계단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완강기는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특히 여러 사람들이 같이 모여 사는 아파트의 경우 화재 발생 시 위험도 커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의 대피 요령 및 완강기 사용법을 미리 숙지해 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그래서 오늘은 대표적인 피난기구 완강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어매트보다 안전한 비상용 피난 기구
완강기는 아파트 등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비상용 피난 기구입니다. 완강기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로, 일정한 속도로 안전하게 지상까지 내려올 수 있습니다. 주로 고층 건물, 병원, 학교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안전 규정과 건축 법규에 따라 설치가 요구됩니다.
에어매트도 피난용 기구 중 하나이지만, 고층에서 에어매트로 뛰어내리는 행위 자체가 작게는 부상, 크게는 목숨을 잃을 위험성이 있습니다. 또한 에어매트는 건물에 딱 붙여서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트의 가운데를 겨냥해 멀리 뛰어야 바닥으로 추락하는 일을 피할 수 있는데요.
불이 난 상황에서 일반인이 침착하게 뛰어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 여러 명이 이용할 경우, 앞사람이 뛰어내린 후 에어매트가 다시 부풀 때까지 20초가량 기다렸다가 뛰어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된 건물에서 대피할 때는 에어매트보다 완강기 사용이 더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완강기의 구성 요소와 설치기준
완강기는 지지대, 후크, 속도조절기, 로프릴, 가슴벨트 5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품들은 완강기 함에 보관하고 비상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속도조절기는 ‘조속기’라고도 하며 자동으로 내려가는 자동속도조절장치를 의미합니다.
완강기의 설치기준을 보면 모든 건축물의 3층부터 10층까지 설치해야 하는데 다중이용업소의 경우에는 2층에도 설치해야 합니다. 휴양 콘도미니엄을 제외한 모든 숙박 시설에는 완강기 또는 2개 이상의 간이 완강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완강기에 사용되는 와이퍼 로프는 1 층당 3m 기준으로 3층에 설치된 완강기의 로프 길이는 9m가 됩니다. 또 최소 25㎏ 이상의 하중을 받아야 내려가며 최대 150㎏ 이상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완강기와 간이 완강기
완강기는 ‘일반’ 완강기와 ‘간이’ 완강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둘의 차이점은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일반 완강기는 사용자 여러 명이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간이 완강기는 사용자 1명이 1회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미리 익혀두기
완강기가 설치되어 있어도 사용 방법을 모른다면 위급 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쩌면 ‘완강기’라는 단어조차 생소한 사람들도 많은데요, 가정에서 뿐 아니라 회사나 상주하고 있는 건물에 완강기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반드시 알아두도록 하며 주기적으로 사용법을 익히거나 실제로 한번 다뤄보는 경험을 가져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완강기의 사용법을 살펴보면 먼저 지지대에 후크를 연결하고 고정이 잘 되는지 확인한 뒤, 벨트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고 가슴벨트를 확실히 조여줍니다. 지상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한 후 창밖으로 로프를 던지고 지지대 고리를 창밖으로 옮깁니다. 두 손으로 로프 2개를 잡고 몸을 밖으로 내놓은 다음 얼굴이 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두 손으로 벽을 지지하면서 하강합니다.
완강기 사용 시 주의사항
완강기의 설치 위치를 항상 미리 알아두고 완강기가 가려지지 않도록 설치 공간에 물건을 쌓아두지 않도록 합니다. 또 완강기 사용 전 지지대를 흔들어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지지대가 움직여 흔들린다면 완강기를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완강기 사용 시 두 팔을 위로 올리면 가슴벨트가 빠져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두 팔은 반드시 몸 옆에 붙이도록 합니다. 체중이 가벼운 어린이의 경우 가슴벨트를 채워 위에서 줄을 당겨 내려보내고 영유아는 아기띠 등으로 보호자 몸에 밀착시켜 함께 하강합니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필요
완강기는 비치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니라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하여 관리해주어야 하는데요, 먼저 외관상 손상이나 이상 유무가 있는지 확인한 후 로프와 안전벨트의 마모, 손상, 변형 여부를 점검합니다. 정기적으로 완강기 작동 상태를 테스트하여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모든 나사와 고정 장치가 제대로 조여져 있는지, 적절한 환경에서 보관되고 있는지도 점검해보아야 합니다.
그 외 다른 피난 기구들
완강기 외에도 피난 기구의 종류들은 다양합니다. ‘승강식 피난기’의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고, 내려서면 스스로 상승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동력 승강식 피난기를 말하며, ‘에어매트’는 화재 발생 시 사람이 건물 외부로 뛰어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구조대’는 섬유 포지 등을 사용하여 자루 형태로 만든 것으로 화재 시 사용자가 그 내부에 들어가 내려옴으로써 대피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잡학상식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저시급으로 알아보는 월급과 주휴수당 (69) | 2025.01.09 |
---|---|
사직서를 던지고 싶은 순간은? (70) | 2025.01.06 |
각종 질병 일으키는 집먼지 진드기 발생 이유와 진드기 박멸법 (107) | 2024.12.16 |
요노족 몰리는 가성비 무한리필 뷔페 프렌차이즈 10곳 (93) | 2024.12.15 |
대표적인 고단백식품 달걀의 보관법과 단백질 과섭취시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자 (100)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