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면서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보험을 가입하는데요. 필요한 보험을 한 가지 두 가지 챙기다 보면 보험료는 점점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그러다가 주위를 둘러봤는데 동료보다 보험료는 많이 내는데, 보장은 적게 받는 것 같다면 보험 리모델링 필요한 시점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가입한 보험이 나에게 적당한지 알아보고 리모델링하기 위해서 알두면 좋은 5가지를 점검방법과 보험 리모델링 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적립보험료를 과다하게 내지는 않나요?
보험료는 보장보험료와 적립보험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보장보험료: 보험 계약에 따라 보장을 받기 위해 내는 보험료입니다.
- 적립보험료: 계약 만기 시 또는 해약 시 계약자에게 돌려주는 보험료입니다.
만약 내가 보험료로 20만 원을 내는데 그중 보장보험료로 8만 원을, 적립보험료로 12만 원을 내고 있다면 실제 보장은 8만 원어치만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험 리모델링 첫 번째 팁
보장을 받는 게 목적이라면 적립보험료를 최소화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만약 보장을 받는 게 목적이라면 적립보험료를 최소화하는 게 좋겠습니다.

2. 목적에 맞는 보험을 가입했나요?
한국인 3대 질병인 암, 뇌, 심장 질환을 진단받았을 때 보장을 받고 싶다면 아래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 3대 진단비가 주 목적인 보험에 가입하기
- 사망 보장이 주목적이고, 특약으로 3대 진단비를 보장받는 보험에 가입하기
- 1번보다 2번으로 가입했을 때 더 많은 보험료를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험 리모델링 두 번째 팁
사망 보장은 특약이 없는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으로 준비하고, 보장보험은 사망 보장이 최소화된 보험으로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3. 꼭 필요한 보장 외에 가입한 특약이 있나요?
종합형 상품에 가입할 때는 상해부터 질병, 운전자 비용 등 다양한 특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꼼꼼히 확인하지 않는다면 이미 보장받는 특약을 또 선택하거나, 필요 없는 특약을 선택하고 보험료를 더 낼 수도 있습니다.
보험 리모델링 세 번째 팁
보험에 가입할 때 가입할 수 있는 특약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보장만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4. 보장의 성격에 맞는 보험 기간을 선택했나요?
3대 진단비 보험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는 나이인 90세 또는 100세 만기로 가입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운전자 보험을 90세/100세 만기 상품으로 가입하면, 운전하지 않는 기간에도 보장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내는 보험료가 생길 수 있습니다.
보험 리모델링 네 번째 팁
가입하려는 보험의 보장을 언제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5. 가입한 보험상품 이름에 ‘간편’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나요?
간편 보험은 고지의무가 간소화되어 보험료는 비싸지만 병력이 있는 사람도 쉽게 가입할 수 있는 보험입니다. 하지만, 일반심사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사람이 간편 심사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동일한 보장임에도 높은 보험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험 리모델링 다섯 번째 팁
현재 건강상태로 간편 보험이 아닌 표준심사보험에 가입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내가 가입한 보험이 정말 나에게 필요한 보험인지 또,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을 내고 있는 건 아닌지 체크해 보는 보험리모델링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한 팁도 알려드렸는데요. 오늘 알려드린 것들은 정말 기초적인 것들이기 때문에 정말 자신에게 필요한 보험을 찾고 보험료 및 보험 리모델링을 하고 싶다면 좀 더 많이 공부하거나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잡학상식 > 경제,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대출 안 나오는 근린생활시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78) | 2024.12.01 |
---|---|
일용근로소득에도 건강보험료가 적용될까? (102) | 2024.11.28 |
4대보험(사회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와 역할 (81) | 2024.11.21 |
보험, 꼭 가입해야 할까? 보험의 종류와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및 주의사항 (89) | 2024.11.19 |
분산 투자 하라고 하는데 어디에 얼만큼 넣어야 하죠? (72)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