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월급만 받아선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투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큰 수익을 바라고 자신의 모든 자금을 한 분야에 몰아서 투자하는 집중 투자는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는 금융 시장에서 원금 손실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분산투자는 자신을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에 나누어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손실의 위험이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분산 투자로 위험을 줄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때문에 오늘은 어떤 금융 상품을 어떻게 나눠 투자하면 좋은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금융 상품의 종류
금융 상품에는 예금, 적금을 비롯해 주식, 채권, 펀드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파생 금융 상품이 등장하면서 상품의 종류와 양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중에는 금융 상품에 투자를 직접 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증권사 등 전문 기관에 맡길 수도 있습니다.
직접 투자 : 주식이나 채권 등을 시장에서 본인이 사고팔아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간접 투자 : 투자자가 은행이나 투자 전문 회사와 같은 자금 운용 기관에 투자금을 맡겨 투자 수익을 분배받는 것을 말합니다. 펀드가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금융 상품에 따라 원금 손실 가능성이 다르기 때문에 가입 전에 잘 살펴보고 신중하게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를 해야 하는데요. 아래에서 원금 손실여부에 따른 상품을 알아보겠습니다.

원금 손실이 없는 상품
정기 예금 : 일정한 금액의 돈을 계약 기간 동안 맡겨 두고 이자를 받는 상품입니다.
정기 적금 : 계약 금액을 계약 기간 동안 매달 납입하여 이자를 받는 상품입니다.

원금 손실이 있는 상품
주식 : 어떤 회사에 자금을 투자한 사람에게 그 대가로 발행하는 일종의 소유 지분을 기록한 증서로, 배당 이익과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채권 : 국가나 공공 기관, 금융회사, 기업 등이 미래에 일정한 시점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고 돈을 빌린 후 제공하는 증서입니다.
펀드 :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금을 전문적인 운용 기관이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그 결과를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간접 투자 방법입니다.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3가지
투자의 위험은 근본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데에서 비롯되는데요. 섣불리 시작하면 자산을 잃을 위험이 있기에 투자를 시작하기 전엔 자산 관리의 원칙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자산 관리의 원칙 3가지는 바로 수익성, 안정성, 유동성 3가지인데요. 대부분 수익성이 높으면 위험성이 높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주식이 있죠. 반대로 안전성이 높으면 수익성이 낮습니다. 예금이 그런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자산 중 일부는 수익성이 높은 자산에, 또 다른 일부는 안전성, 또는 유동성이 높은 자산에 나누어 투자하는 분산 투자를 통해 원금 손실의 위험성을 줄여야 하는데요. 한 곳의 가격이 크게 하락하더라도 다른 곳의 가격은 상승할 수 있으니 집중 투자에 비해 안전성이 큰 것이죠. 이처럼 원금 손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분산 투자하는 것, 또는 분산 투자한 상품의 묶음을 포트폴리오라고 합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금융 포트폴리오 이론 정립'으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토빈이 한 말인데요. 한 바구니에 있는 계란을 꺼내다가 떨어뜨리면 모든 계란이 깨질 수 있지만, 이를 여러 바구니에 나눠 담으면 그런 위험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도 이와 같아서 포트폴리오를 통해 분산 투자를 하면 소수의 자산에 집중 투자했을 때의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소액 투자라도 포트폴리오를 통해 투자하는 습관을 들여야 큰돈 포트폴리오도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포트폴리오는 개인의 재무 상황과 투자 성향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는데요. 먼저 목표 수익률을 정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과 수익성, 안전성, 유동성을 고려해 위험 자산과 안전 자산의 비율을 정합니다.
다음으로는 너무 많은 투자 수단은 거래 수수료와 거래 비용이 많이 드므로 효율성을 고려해 투자 수단의 종류와 양을 정합니다. 종류와 양을 정했다면 자금을 예금, 주식, 외화, 원자재 등의 자산 형태별로 나누거나, 국내외, 통화, 장단기와 같은 투자 기간에 따라 분산하여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장기간의 복리 효과와 노후의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장기 투자의 비중이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하는데요.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위험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여가면서, 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여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오늘은 갈수록 높아지는 물가에 월급을 투자해서 노후를 대비하고 싶은 직장인들을 위해 투자, 그중에서도 분산투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간단하게 어떠한 투자방식이 있고 어떤 식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투자라고 하는 것이 전문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복잡하려면 한 없이 복잡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배우고 투자해 보자고요.
'잡학상식 > 경제,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보험(사회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와 역할 (81) | 2024.11.21 |
---|---|
보험, 꼭 가입해야 할까? 보험의 종류와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및 주의사항 (89) | 2024.11.19 |
부동산 현실 조언 - 돈 버는 재건축 투자 물건의 5가지 조건 (71) | 2024.11.06 |
부동산 현실 조언 - 재건축 투자에 뛰어들어도 될까? 체크리스트 3가지 (78) | 2024.11.05 |
부동산 현실 조언 - 재건축 사업에 대한 대표적 오해 2가지 (70)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