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르바이트3 2025년 최저시급으로 알아보는 월급과 주휴수당 2025년 새해가 되었습니다. 올해부터 많은 것들이 바뀌는데요 그중에서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오르면서 최저시급 1만 원대의 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는데요. 그로 인해 월급, 주급 등이 오르고 쉬는 날에 받는 주휴수당도 함께 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휴수당의 개념과 주휴수당 조건 및 최저시급에 따른 월급, 주급, 주휴수당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만원 시대의 시작최저시급이란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노동의 대가로 받는 최소한의 임금을 말하는데요. 정부가 사용하는 공식 용어는 ‘최저임금’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시간당 받는 돈을 말할 때 최저시급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렇게 임금이 낮은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매년 최저시급을 정하고 있습니다.20.. 2025. 1. 9. 프리터족 증가 와 프리터족, 니트족의 의미 니트족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보셨지만 혹시 프리터족이라는 단어를 알고 계신가요? 흔히 니트족과 프리터족을 혼동하기 쉬운데요. 니트족이란 무엇이고 프리터족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요즘 들어 늘어나고 있는 프리터족 증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터족이라고 해서 혹시나 이런 만화 속의 프리더를 생각하시고 계신다면 틀리셨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니트족이란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신조어입니다. 보통 15~34세 사이의 취업인구 가운데 미혼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으면서 가사일도 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켜 무업자라고도 합니다. 취업에 대한 의욕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일한 의지가 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나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프리터족과는 다릅니다. 프리터족이란프리 아르바이.. 2024. 9. 20. 최저임금은 올랐는데 월급은 그대로? 판치는 최저임금 편법과 꼼수 2018년이 되면서 최저임금이 6470원에서 1060원 오른 7530원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올해부터 인상될 월급을 기대하던 회사원들과 아르바이트생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런데 이런 많은 노동자들의 바람을 교묘히 피해가는 편법과 꼼수들이 성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2018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 때에 높아진 임금 때문에 혹여나 일자리를 잃거나 월급이 오르지 않는 사태가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우려의 말을 했던 것이 현실로 나타나고야 말았습니다. 특히나 임금이 적거나 나이가 많은 근로자들은 그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높아진 임금을 피하기 위해 판치는 최저임금 편법과 최저임금 꼼수 들 어떤 꼼수와 편법을 부리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여금 .. 2018. 1.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