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잡학상식/건강정보162 단백질 과섭취시 나타나는 몸의 신호들 요즘 들어 우리의 식단에서 단백질의 중요성이 상당히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백질은 근육, 뼈, 면역 체계에 필요한 아미노산이 가득한 영양소지만 만능은 아닌데요. 단백질을 과하게 섭취하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단백질의 일일 권장량은 건강 상태와 신체 활동량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여성의 경우 46g, 남성의 경우 56g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단백질을 체중 1kg당 하루 2g 이상 섭취하면 위장장애부터 탈수, 신장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이처럼 단백질을 너무 많이 섭취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몸의 신호’가 몇 가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7가지 몸의 신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 2024. 6. 10. 무시하면 위험해 지는 통증 7가지 우리는 살면서 여러 가지의 통증과 마주하게 됩니다. 가벼운 통증부터 심각한 통증까지 종류도 다양한 데요. 그중에서 어떤 통증은 지금은 괜찮을지 몰라도 후일 큰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전조증상인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무시하면 위험해지는 통증 7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통두통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주 겪고 또 흔하게 겪는 통증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통증과 벼락 두통의 경우는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머리가 조금씩 지끈거리는 상태가 아니라 벼락두통은 느닷없이 발생해 초기에 통증이 가장 심한 두통을 말합니다. 갑작스럽게 두통이 찾아와 머리를 부여잡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시간이 조금 지나면 통증이 잦아들긴 하지만 갑작스럽게 두통이 찾아왔을 때 심한 두통을 유발하는 경우는 동.. 2024. 6. 9. 조증과 경조증 그리고 조울증의 관계 현대를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것 중 한 가지가 바로 스트레스입니다. 현대인의 모든 질병의 원인이면서도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스트레스는 몸의 질병뿐만 아니라 정신정인 마음의 병까지도 가지고 오는데요. 예전엔 정실질환이라고 하면 굉장히 나쁜 이미지가 많았습니다. 현재도 이미지 개선이 많이 된 것은 아니지만 예전만큼은 아닌 것 같은 게 우울증이라거나 조증, 조울증, 공황장애 등의 정신질환을 겪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TV매체에도 많이 나와서 그런 것 같습니다. 조두순 사건이라거나, 유영철 사건 등과 최근에는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가수 이상민 씨와 한 정신과 의사가 경조증을 앓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한 배우 유아인 씨까지 오늘은 그중에서도 조증과 경조증 그리고 조울.. 2024. 6. 7. 뱃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 4가지 우리는 멋지고 예쁜 몸을 만들기 위해 또는 건강해지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고 다이어트를 합니다. 그 결과 몸에 근육도 늘고 체중도 줄어들긴 하지만 유독, 뱃살만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데요. 흔히 뱃살은 나잇살, 술살이라고 부르며 현대인들에게 가장 미움받고 있는 살입니다. 다이어트를 시작하게 되는 이유 중 대부분은 늘어난 뱃살 때문인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다이어트 광고나 운동 프로그램을 보면 뱃살만 빼준다, 단기간에 복근을 만들어 준다 등의 문구로 우리를 현혹하는데요. 뱃살은 내장지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빼기도 힘들뿐더러 뱃살만 쏙 하고 빠지는 형식의 다이어트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살이 빠질 때는 전체적으로 고루 빠지기 때문에 뱃살만 빠지는 경우는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뱃살은 외관상의.. 2024. 6. 5.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1 다음 반응형